임춘택 원장의 덴마크 탐방기1

작성자: tigerim7 - 2018.10.19

<덴마크 에너지청과 해상 풍력발전단지 시찰>
4.17 오전에 덴마크 에너지청(Danish Energy Agency)을 방문했다. 우리나라와 달리 에너지분야가 통합돼있어 유일한 공공기관이다. 여기서 덴마크의 에너지전환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덴마크의 전기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1995년에 5%에서 2016년 60%로 가파르게 커졌으며,  2030년 100%를 달성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은 바이오에너지와 석탄발전으로 충당한다.

지난 25년간 덴마크의 에너지 사용량이 6% 감소했다. 온실가스인 GHG를 35% 감소시키고, GDP는 51% 증가하면서 이뤄낸 성과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때문에 타 에너지원의 에너지유연성에 대해 명확한 경제적보상을 제공하는 제도를 운영한다. 

전력시장에서 한국은 하루전에 입찰에 참여해야하는데, 덴마크를 포함해 모든 OECD국가는 1시간전까지 가능하도록 해서 신재생에너지 확산에 중요한 기제가 됐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실시간 전력시장도 발달해서, 수요-공급시장(Balancing market)에서 전력가격이 결정된다.

덴마크는 작년평균 1년에 14분 정전될 정도로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도 전력품질이 좋다. 자연재해나 인공 사고가 적은 지중화가 주요 이유라는 설명이다. 해저에서도 1미터 땅밑으로 HVDC케이블화를 한다.

의회가 여야가 합의해서 2012년에 재생에너지 로드맵을 결정했고 2018년 재확인하여 정권교체와 무관하게 에너지전환을 한다. 모든에너지에 대해 2050에 제로에미션, 2030년 55%를 재생에너지로 하는 로드맵이다. 2030년까지 탈석탄 완료도 목표다. 코펜하겐시는 2025까지 에너지중립이 목표다. 즉, 에너지를 가져오지 않고 스스로 조달한다.

향후 800MW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8년간 3개 건설해 2.4GW가 되는데, 130M$를 정부가 지원한다. 덴마크는 풍력발전의 균등화단가인 LCOE를 2016년에 45EU/MWh 달성했다. 입찰시 국내외에 동등한 참여를 보장하고, 오로지 발전단가(가격/kWh)만으로 결정한 탓이다.

풍력발전기는 25년 수명후 연장 가능한데, 신규설치시는 새로운 계약으로 기존 인프라 시설을 그대로 사용 못할수도 있다.

신재생에너지 신청에서 착공 인허가 승인을 받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34개월로 짧은데, 이를 주관하는 DEA가 전력거래소, 에너지부, 교통부, 환경농림부, 국방부, 문화부, 기업과 개발기관을 모두 연결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우리나라도 이런 거버넌스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된다.

육상과 근해지역은 풍력발전소 4.5km이내 주민에 대해 거리관계없이 동등한 권리로 20%이상 보상을 발전사가 제안하도록 돼있다. 해상은 육지와 거리가 멀어 해당이 없다. 그리고 풍력발전기 인근지역은 가치하락에 대해 보상하도록 하고있다. 참고로, 덴마크는 풍력발전기 가동률인 커패시티팩터가 평균 36%다.

이날 오후에는 해상 풍력발전 단지를 시찰했는데, 배로 2시간 정도 걸렸다. 2MW 풍력발전기가 20개 설치돼 총 40MW를 발전용량이다. 10개는 오스테드(Orsted)사가, 10개는 지역 협동조합 소유다.

4미터 수심에 설치돼 설치비가 저렴하다. 4개가 고장으로 서있는데, 고장률 20%는 흔하다. 30kV 해저케이블로 교류송전하는데, 종종 변압기가 파손되어 정지한다고 한다. 

벼락에 대한 대책으로 블레이드에 낙뢰유도선과 회전부분에 브러시를 설치한다.

코펜하겐 해안가 도시 지역에 화력발전소가 하나 있는데 석탄재가 산을 이뤄 스키장을 건설중이다. 시민친화적인 정책의 일환이라 한다.

국내 설치나 수출시 지역인 채용과 교육을 중요시한다. 지역민 협조도 얻어야하고, 회사입장에서도 안정적인 풍력발전기 운영을 위해서 유리하다.

덴마크에서 일자리창출면에서 3.3만명이상이 풍력발전에서 생성되었고, 풍력발전 수출은 연간 10조원이다. 재생에너지가 덴마크의 미래인 이유다.

같은 태그, 다른 글

조회: 302 | 댓글: 0
행사일정:
조회: 91 | 댓글: 0
행사일정:
조회: 492 | 댓글: 0
행사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