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공생] 주먹을 펴야 악수를 할 수 있다.

답사 소개

1일 답사 보고서 작성시에는

  • 프런티어 과제 
  • 일정
  • 답사 사유
  • 내용
  • 추가정보의 지도 추가하기

을 필수로 부탁드립니다.

프론티어 팀명
일정
프론티어 카테고리
답사 목적
지난 3박4일 일정동안은 지역주민과 지자체의 의견을 들어보았다면, 이번에는 기업의 이야기를 듣고자 하였다.
기업, 지자체, 지역주민 각자의 이야기와 주장을 들어본 다음, 재생에너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
내용

1. 두산중공업 박지웅팀장님과의 인터뷰

풍력발전 산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두산중공업이 해온 노력과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풍력 산업의 세계적인 동향과 이슈에 대해 들었다.

세계적인 풍력 기업들은 M&A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풍력터빈 모델과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그에 반면 우리나라는 두산중공업과 유니슨 등 소수의 기업들이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소규모로 사업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 한다. 

 만약 지금과 같이 풍력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없다면, 남아 있는 기업들도 머지 못해 해외 기업들에 밀려나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이 들었다. 

 다음으로 두산중공업이 갖고있는 풍력터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그동안 풍력터빈의 용량이 크면 좋다고 생각했지만, 마냥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풍력발전기의 스펙에 따라(블레이드 길이) 고속에 적합한 풍력발전기와 저속에 적합한 풍력발전기 등 발전을 위한 최적화된 풍속이 바뀐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람의 속도가 느린편이라 블레이드의 길이가 긴 풍력발전기가 유리하다 하였다. 그래서 동일한 용량의 풍력발전기이여도 해외 제품보다 두산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길이가 더 길다 하였다. 즉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풍력터빈을 위해 연구하고 있다 하셨다.   

 오늘 가장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국내 풍력업체에 국가차원의 투자가 필요한 이유이다. 우리나라는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초기에는 FIT제도를 운영했다. 그러나 그 혜택이 국내 기업에게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해외업체에게 돌아갔다. 게다가 당시 국내에는 경쟁업체가 없다보니 해외기업들은 구모델을 비싼가격에 한국에 납품하는 정책을 펼쳤다. 결국 세금이 국내 기업에 흘러 일자리가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가 아닌, 해외로 유출되는 오점을 남기게 되었다.

2. 한국해상풍력 심은보본부장님과의 인터뷰

마지막 답사 일정으로 한해풍 본사를 방문하였다.

원래는 김태창팀장님과 만남을 갖기로 했는데 당일 아침 본부장님과 인터뷰를 하면 된다는 문자를 받았다.

우리의 이번 방문 목적은 모든 방문과 마찬가지로 같은 질문지를 통한 서로의 의견차 소통 현황을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우리가 미리 드린 질문지에 빼곡히 써있는 메모를 보고 '많이 준비하셨구나' 생각을 했다.

본부장님의 답변은 '환경변화가 있을 것이다.' '한해풍이 준비를 잘못했다.' 등의 몇 가지에는 동의를 하지만 이외의 나머지 질문에서는 타집단과는 반대되는 답변을 내놓으셨다.

우리의 생각에서 가장 벗어난 답변이 공사 지연에 관한 것이었다. 언론, 논문 등을 보면 서남해단지 지연의 가장 큰 요인으로 주민수용성을 들고 있었고 우리 또한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부장님은 주민 수용성으로 인한 지연은 단 하루도 없었다고 말씀하셨다.

환경평가 등 정부규제를 충족시키는데 있어 시간이 지연되었고 터빈 업체를 선정함에 있어 시간이 지연된게  가장 크다고 설명하셨다.

처음 기업공고를 냈을 때 대부분 기업들은 무리한 시공을 약속하였고 이들이 선정되었지만 몇년 후 무리함을 깨닫고 발을 빼 이 과정에서 가장 긴 시간을 뺐겼다 설명하셨다.

우리팀은 이 대목에서 갈등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법적으로 주민 수용성으로 인한 지연이 하루도 없는것은 맞는 말이다. 사업자 입장에선 법 테두리 안에만 있으면 되는 것이고 주민들은 그게 부족하다는 입장에서 빚어지는게 아닌가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첫 번째 방법으로 기업이 양보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기업은 양보 할 필요가 없고 기업 목적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둘 째로 주민이 양보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 주민들은 시간을 끌면 돈이 되는 것을 이미 알고 있고, 과거 강남 등의 땅부자를 직접 겪은 세대들로 양보하려 하지 않고 있다. 오직, 기후 변화 심각성이나 후대를 생각하는 선진의식이 있어야 주민 양보를 얻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기대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세 번째 방법으로 정부가 양 측 의견과 피해조사를 통해 법적 테두리를 바꾸는 것이다. 위 방법 문제들과는 달리 정부는 이를 행하여야하는 기관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만난 분들의 의견 중 공통으로 말씀하시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첫 째가 바로 '정부가 방관만 한다. '이다. 우리 팀은 이를 활동 초부터 가장 큰 문제로 여겼고 해결 방안으로 꼽고 있었다. 4.5일 탐방을 진행하며 맞는 길이라 확신을 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에선 팀원간 약간의 의견차가 있어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둘 째론 소통채널이 없다는 불만을 반복해서 들을 수 있었다. 더불어 모두가 채널을 원한다는 코멘트도 남겼었다. 

우린 이 상황이 너무 아쉬웠다. 이것만 있었더라면 훨씬 수월했을텐데.. 게다가 모두 원하는데... 왜 못만들었을까?

 

남은 기간동안 큰 변화가 있지 않는 한 우리 팀의 최종 솔루션은 위 두가지가 될 것이다. 사실 몇가지 세부적인 방안을 제시했지만 

올 7월 시작된 민관협의회와 올해부터 시행될 예정인 녹색 요금제도 등 우리가 생각했던 대안들이 이미 시행되거나 될 예정에 있었다. 그렇다면 위 두가지도 곧 만들어지지 않을까 ????

 

37.503777874052, 127.02426465138